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철학] 비관론_기술의 발전에 따른 허무주의 기술의 발전과 허무주의19세기에 실증주의란 이름으로 만개한 과학은 산업과 연결되면서 기술 공학을 통해 정치적·사회적 위기를 해결하고 인류 사회를 총체적으로 개혁하려는 생각의 토대가 되었다. 즉 과학과 산업이 과거의 종교적·초월적 이념을 대체했다. 인간은 전적으로 자연에서 생겨나며 인간의 행위도 다른 사물들과 같은 사실 체계에 속하므로 과학은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에 확실성을 제공하는 이념이자 목적이 된다. 과학과 산업의 발전이 인간의 진보와 문명이라는 목적을 구성하게 된다. 사실 18~19세기의 상황은 이미 기술 세계의 준비과정이었다. 질서, 조화, 신 등의 초월적 규범이 힘을 잃으면서 진보와 과학에 대한 믿음, 역사의 발전에 대한 신뢰, 성공에 대한 숭배, 또는 더 평범하게 말하면 물질적 안전과 심리적.. 2025. 2. 1.
[철학] 비관론_철학적 구조_의지 쇼펜하우어의 비관론 체계여느 철학 체계들과 마찬가지로 쇼펜하우어의 비관론 체계도 여러 사상과 관계를 맺고 진화과정을 겪으며 완성되었다. 하늘에서 뚝 떨어진 사상은 없다. 쇼펜하우어 스스로 단언하듯이 그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칸트의 철학이다. 심지어 그는 칸트와 자신 사이에는 아무도 없다고 선언한다. 쇼펜하우어는 칸트 이후 독일철학의 세 거두인 피히테, 셸링, 헤겔을 무로 환원시켜 버리는 것이다. “참되고 진지한 철학은 칸트가 남긴 채로 그대로 있다. 여하간 나는 철학에서 칸트와 나 사이에 최소한의 진전이라도 있었다는 것을 전적으로 부정한다.” 쇼펜하우어는 이 세 철학자를 “세 명의 커다란 궤 변론자들”로 불렀고 평생 이들에게 욕설과 독설을 퍼부었지만 칸트에 대해서는 각별한 존경심을 표했다. 비록.. 2025. 2. 1.
[철학] 비관론_쇼펜하우어의 의지 쇼펜하우어의 '의지' 개념쇼펜하우어가 ‘의지’ 개념을 이성이나 표상 등의 인식 능력보다 상위의 원리로 주장한 것은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특히 인간이 이성적인 존재가 아니라 충동, 욕망, 본능으로 점철된 존재라는 관점은 서양의 이성중심주의와 정면으로 대립된다. 우리의 지성적 판단의 배후에 성욕 같은 본능과 욕망이 숨어있다고 갈파하는 쇼펜하우어의 생각은 서양철학을 망치로 두드려 부숴버린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에 선행하기도 한다.그러나 철학사에 대한 지식으로 범위를 넓히지 말고 우리의 주제인 비관론에 집중하도록 하자. 지금까지 우리는 비관론의 창시자인 쇼펜하우어가 자신만의 방식대로 칸트와 플라톤을 극복 또는 종합함으로써 자신의 철학 체계를 건립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의 철학 체계를 이루는 두 핵심 개념은.. 2025. 1. 30.
[철학] 비관론_비관론의 윤리 인간의 의지 인간은 의지의 존재다. 그런데 원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의지를 온전히 발현하는 것이다. 의지의 대상화 또는 객관화가 곧 의지의 목적이다. 달리 말하면, 의지가 원하는 것은 자신의 거울로서의 이 가시적 세계다. 의지가 삶 속에서 실현되는 것이 의지의 대상화다. 사실 의지 행위를 쉬지 않고 지속하는 의지의 차원에서 볼 때 삶은 아무 문제도 없다. 물자체로서의 의지는 충족이유율의 모든 형식과 전적으로 무관하며, 따라서 절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이다.“의지는 물자체이고, 세계의 내적 실질이며, 본질적이지만, 생, 가시적 세계, 현상은 의지의 거울에 불과하기 때문에, 마치 육체에 그림자가 따르는 것처럼, 의지에는 생, 세계, 현상이 불가분으로 수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의지가 있는 곳에는 또한 생.. 2025. 1. 30.